1. 클럽(CLUB) 클럽은 자격 있는 회원20인 이상으로 구성되며, 클럽이 새로 인준을 받으려면 이미 활동하고 있는 클럽의 스폰서와 지구총재(RD)의 추천을 받아 국제본부(IHQ)에 신청하고 인허(Charter) 되어야 한다. 2. 클럽의 자격 클럽은 국제회비 및 기타 국제 의무금을 완납하고 클럽회원 15인이 되어야 국제투표 등 각종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 한다. 클럽 회원40인 이상이 되는 클럽은 지구 및 지방의 각종 의결 투표에 2배의 권리를 가질수 있다. 3. 클럽의 역할 클럽은 국제와이즈멘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며, 가장 중요한 단위이다. 국제와이즈멘의 모든 중요한 일들이 클럽에 의하여 결정되며 클럽은 지구(Region)에 소속되며 지방(District)의 관할과 협조를 받는다. 클럽은 지방장 (District Governor)의 지도와 협조 하에 지구총재 (Regional Director)에게 보고하고 지구총재의 지도를 받는다. ① 회원의 관리 및 입.퇴 문제해결, 회원의 와이즈멘 교육 ② 회비의 수납 및 송금 (국제 및 지구) ③ 임원의 추천 (지방, 지구, 지역, 국제) ④ 국제임원의 선출 (국제총재, 국제재무, 국제의원의 선거권이 회장에게 있음) ⑤ 국제헌장의 개정 , 지구헌장의 개정 표결 ⑥ 국제보고, 국제결연(IBC)의 주체 ⑦ 봉사활동 및 사업의 주체 ⑧ 지구이사회 및 지방협의회에 대표 파견 ⑨ 국제 및 지구의 각종 사업시책 등을 회원들에게 알린다. 4. 클럽의 행정 클럽에서 준수하고 또 추천할 만한 몇 가지 중요한 요소들이 있다. ① 클럽 임원들이 각각 맡은 임무에 따라 훈련을 받을 필요가 있다. 이 훈련은 지방이나 지구가 훈련을 주관하는것이 바람직하나 클럽별로 클럽의 증경회장 혹은 훌륭한 와이즈멘 지도자들을 클럽에 초청하여 연수하는 것은 더욱 좋은 일이다. ② 건실한 재정구조의 확립을 위해서 적절한 예산 설정및 재정운용, 클럽의 사정에 맞는 규모의 기금조성 프로젝트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가급적 매월 혹은 분기별 재정보고 하는 것이 좋으며 지출을 위하여 적절한 절차등을 필수적으로 마련하여야 한다. ③ 회원들의 관심분야에 따라서 적절한 위원회 구조를 형성하여 회원 모두가 참여하고 기여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 위원회(혹은 소규모 그룹)을 편성하여 모든 회원이 속하게 하되 위원장이 회합을 주선 하고 클럽회장에게 보고토록 한다. 5. 클럽임원 임원의 구성을 총회에서 하며 모든 임원의 임기는 1년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관례에 따라 와이즈멘 클럽 회장은 차기회장 또는 차차기회장이, 차차기회장은 사무장이, 사무장은 재무장이 승계하는 제도를 따르고 있으며 재무의 선출은 증경회장단 혹은 인사위원회에서 추천하여 총회의 인준을 받는다.
임원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회장-차기회장-차차기회장-직전회장-사무장-재무장 준임원 : 홍보부장-메넷부장-정보통신부장-Y협력간사 6. 임원회 임원의 임무 임원회는 월1회 정기적으로 가지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가급적 클럽이사들과 함께 모이는 이사회를 확대 회집한다. 임원회는 이사회가 결의한 클럽의 제반 사업의 주체가 된다. ???? 회 장 (Club President) 클럽회장의 임기는 1년으로 하며 회기는 7월1일부터 익년 6월30일 까지로 한다. 1) 클럽회장 임무 ① 회장은 언제라도 클럽 회원들이 Y's Men에 대하여 질문할 때 내어놓을 수 있는 자료들을 준비하고 있어야 하며, 특히 신입회원 후보자가 질문 할 때에 내어 놓을 수 있는 자료 (팜플렛) 등을 준비하고 있어야 한다. ② 클럽회장은 자신의 할 일을 다 하지 못함으로 회원들에게 지탄의 대상이 되어서도 안 되지만 반대로 클럽회장의 권위를 상실하지 않도록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 ③ 회장은 회원의 위에 군림하여서는 절대로 안 되지만 클럽회장이 회원의 심부름이나 하는 정도로 인식시켜서도 안 된다 ④ 클럽회장은 어떤 경로를 통하는 클럽의 회원들과 한 달에 한 번, 적어도 두 달에 한번이상 전화 또는 e-mail로 대회가 있어야 하며, 1년 회기 중에 적어도 1회 이상 회원과 개별만남을 갖도록 한다. ⑤ 클럽의 문제점이 발견될 시에는 반드시 클럽 월례회 이외의 시간에 하도록 한다. 2) 클럽회장이 참석해야 할 대외적 모임 ① 협의회 ② 지구이사회 ③ 지방대회 혹은 지방연수회 ④ 지구대회 ???? 부회장 - 차기회장(Club Vice President , Club President Elect) 부회장은 차기회장이 되는 것은 보통이며, 차기회장을 별도로 두고 있는 클럽에서는 차차기회장의 역할을 맡기도 한다. 클럽회원수가 40명 이상이 될 때에는 부회장을 두 사람 두어 업무를 분담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부회장은 회장의 유고시 회장의 직무를 대리하며, 회장의 유고로 사임하게 될 때 회장이 된다. 단, 잔여 임기가 6개월 미만일 때 차기회장으로 재선임 될 수 있고 6개월 이상 일 때 잔여기간만 임직 하는 것이 관례이다. ???? 사무장 (Club Secretary) 클럽업무의 총괄자로 활동의 주제가 되며, 그 임무는 다음과 같다. ① 모든 교신에 있어 회장을 보좌한다. ② 각종 회의록 기타 역사 자료들을 기록하고 보좌 한다. ③ 회원명부 기타 회원 인사기록부를 정비 보관 그 변동 사항을 수시로 파악한 다. ④ 회원 입, 퇴에 관한 사항을 파악 이사회에 제의하며 의결사항을 처리 한다. ⑤ 국제본부, 지역, 지구, 지방에 대한 각종보고서 작성및 발송업무의 책임을 진 다. ⑥ 봉사부장들의 활동을 파악하고 활성화 하도록 추진 한다. ???? 재무장 (Club Treasurer) 클럽재무의 임무는 다음과 같다. ① 클럽 재정을 관리하고 회계한다. ② 소정의 회비를 징수하고 국제, 지역(협의회), 지구, 지방의 회비들을 수납하여 송금 ③ 클럽 감사의 심사를 받아 결산을 총회에 보고한다. ???? 직전회장 ( Immediate Past Club President) 클럽임원으로 클럽인원의 활동에 자문하며 특별한 임무를 부여받았을 경우 그 임 무를 수행한다. 클럽에 회장직을 경과한 증경회장들이 다수 있을 때, 증경 회장단의 모임을 주선하고 그 총무역할을 맡도록 하는 것은 좋은 역할로 권장할 만한 일이다.